‘구독과 좋아요 알림 설정 부탁드립니다 ‘가 유튜브 단골 멘트일 만큼 좋아요 싫어요는 유튜브의 대표 기능이다. 이걸로 시청자의 의견을 표시하기도 하고 여론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구글은 2021년 11월 부로 싫어요 수를 가려버렸다.
유튜브는 왜 싫어요 수를 가려버렸을까?
싫어요의 순기능은 시청자들의 알고리즘을 개선하는 것과 크리에이터에게 주어지는 피드백 등이지만 유튜브는 특정 집단의 싫어요 테러나 프로그램에 의한 싫어요 폭탄 등 악효과가 더 크다고 판단한 거다.
인간은 상대적으로 큰 집단에 속하고 싶어 하는 군중심리가 어마어마하게 작용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테러가 발생했을 때 단순 공격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타인에게까지 부정적인 생각을 전파하는 것이 문제인 것이다.
실제로도 이게 가장 큰 목적이라는 것도 밝혀졌는데 싫어요 수를 보여주지 않자 공격 행위가 현저하게 줄었다고 한다.
또 그간 크리에이터들도 싫어요 수를 가려달라는 피드백을 유튜브에 지속적으로 전달하면서 마침내 유튜브가 크리에이터 친화 정책을 펼친 거다.
이런 시도를 한 게 유튜브가 처음은 아니다.
따봉충의 근원자라 할 수 있는 페이스북은 싫어요 기능을 추가할지에 대한 논의를 지속적으로 해왔지만 비슷한 부작용들이 예상되기 때문에 그냥 감정 표현 버튼들만 도입한 거다.